한국사 연표 및 시대 구분 당위성·목적·이유

12 분 소요

한국사 연표

한국사를 고대, 중세, 근대의 삼분법으로 구분하여 연표를 정리하였습니다.

고대·중세·근대 단어를 클릭하여 해당 연표와 사건들을 볼 수 있습니다.

고대

고대는 선사시대부터 고조선의 건국 그리고 고려가 건국되기 이전의 남북국 시대까지로 분류하였습니다.

원하는 챕터의 시기와 사건을 보려면, 문장을 클릭하시면됩니다.

구석기·신석기 시대의 모습
시기 사건
약 70만 년 전 구석기 시대 시작
기원전 8000년경 신석기 시대 시작
청동기·철기 시대의 모습
시기 사건
기원전 2233년 고조선 건국(청동기 기반)
기원전 2000년 경 ~ 기원전 1500년 경 한반도에 청동기 시대 시작
기원전 5세기 경 철기 보급
기원전 194년 위만 조선 성립
기원전 108년 고조선(위만 조선) 멸망
기원전 2세기경 철기의 본격 수용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시기 사건
기원전 2333년 고조선 건국
기원전 5세기경 철기의 보급
기원전 194년 위만 조선 성립
기원전 2세기경 철기의 본격 수용
기원전 108년 고조선(위만 조선) 멸망
여러 나라의 성장
시기 사건
기원전 5세기경 한반도에 철기 보급
기원전 2세기경 철기의 본격 수용
기원전 108년 고조선(위만 조선) 멸망
기원전 37년 고구려 건국
삼국 및 가야의 성립과 체제 정비
시기 사건
기원전 57년 박혁거세, 신라 건국
기원전 37년 주몽, 고구려 건국
기원전 18년 온조, 백제 건국
42년 김수로, 금관가야 건국
260년 백제 고이왕, 16관등과 공복 제정
삼국 및 가야의 발전과 항쟁
시기 사건
313년 고구려 미천왕, 낙랑군 축출
371년 백체 근초고왕, 평양성 공격
372년 고구려, 불교 수용, 태학 설치
384년 백제, 불교 수용
400년 고구려, 신라에 침입한 왜구 격퇴
427년 고구려, 평양 천도
494년 고구려, 부여 멸망시킴
512년 신라 이사부, 우산국 정복
532년 신라, 금관가야 병합
538년 백제, 사비 천도
554년 백제 성왕,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
562년 신라, 대가야 정복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시기 사건
612년 고구려, 살수 대첩
645년 고구려, 안시성 싸움 승리
660년 백제 멸망
668년 고구려 멸망
675년 매소성 전투
676년 신라, 삼국 통일
698년 발해 건국
삼국의 경제와 사회
시기 사건
194년 고구려, 진대법 실시
260년 백제, 16관등과 공복 제정
502년 신라, 우경 실시
삼국의 문화
시기 사건
372년 고구려, 불교 수용
384년 백제, 불교 수용
527년 신라, 불교 공인
545년 신라, 『국사』 편찬
552년 백제, 일본에 불교 전파
647년 신라, 첨성대 건립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시기 사건
654년 신라, 무영왕 즉위
685년 신문왕, 9주 5소경 설치
687년 신문왕, 관료전 지급
689년 신문왕, 녹읍 폐지
698년 대조영, 발해 건국
732년 발해 장문휴, 당의 산둥 지방 공격
757년 경덕왕, 녹읍 부활
828년 장보고, 청해진 설치
남북국의 사회, 경제, 문화
시기 사건
682년 신라, 국학 설치
687년 신문왕, 관료전 지급
722년 신라, 정전 지급
727년 혜초, 『왕오천축국전』집필
751년 신라, 불국사와 석굴암 중창
771년 신라, 성덕 대왕 신종 주조
788년 신라, 독서삼품과 설치
828년 장보고, 청해진 설치
신라 말의 동요와 후삼국의 성립
시기 사건
780년 혜공왕 피살
788년 원성왕, 독서삼품과 설치
822년 김헌창의 난
828년 장보고, 청해진 설치
846년 장보고의 난
889년 원종·애노의 난
900년 견훤, 후백제 건국
901년 궁예, 후고구려 건국
918년 왕건, 고려 건국

중세

중세는 고려를 전후로 하는 시기로 분류하였습니다.
또한 근세를 중세에 포함시켰습니다.

원하는 챕터의 시기와 사건을 보려면, 문장을 클릭하시면됩니다.

고려의 건국과 귀족 사회의 발전
시기 사건
918년 왕권, 고려 건국
926년 발해 멸망
936년 고려, 후삼국 통일
943년 태조, 훈요 10조 남김
956년 광종, 노비안검법 실시
958년 광종, 과거제 실시
983년 성종, 12목 설치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 정권
시기 사건
1126년 이자겸의 난
1135년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170년 무신 정변
1174년 서경 유수 조위총의 난
1176년 망이·망소이의 난
1193년 김사미·효심의 난
1196년 최충헌 집권
1198년 만적의 난
고려의 대외 관계와 고려 후기의 정치 변화
시기 사건
993년 거란의 1차 침입
1019년 귀주 대첩
1033년 천리 장성 축조
1107년 윤관, 동북 9성 축조
1231년 몽골의 1차 침입
1232년 최우, 강화 천도
1270년 개경 환도, 삼별초의 대응 항쟁
1356년 공민왕, 쌍성총관부 탈환
1388년 이성계, 위화도 회군
1389년 박위, 쓰시마 섬 정벌
1391년 과전법 실시
고려의 경제와 사회
시기 사건
976년 전시과 시행
996년 견원중보 주조
1076년 경정 전시과 시행, 관제 개혁
1102년 해동통보 주조
1363년 문익점, 목화씨 전래
고려의 문화
시기 사건
958년 과거제 시행
1145년 삼국사기 편찬
1190년 지눌, 수선사 결성
1234년 상정고금예문 간행
1251년 팔만대장경 완성
1377년 직지심체요절 인쇄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시기 사건
1387년 철령위 사건
1388년 위화도 회군
1391년 과전법 실시
1392년 조선 건국
1394년 한양 천도
1401년 신문고 설치
1453년 계유정란
1485년 경국대전 반포
사림의 성장과 성리학적 질서의 확산
시기 사건
1459년 김종직의 관직 진출
1498년 무오사화
1504년 감자사화
1515년 조광조의 관직 진출
1519년 기묘사화
1545년 음사사화
1575년 동서 분당
조선의 경제와 사회
시기 사건
1391년 과전법 실시
1412년 시전 설치
1413년 호패법 실시
1428년 유향소 복설
1448년 사창제 실시
1466년 관수 관급제 실시
1485년 오가작통법 시행
1517년 조광조, 여씨향약 시행
1559년 임꺽정의 난
조선 전기의 문화
시기 사건
1395년 천상열차분야지도 제작
1402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제작
1432년 삼강행실도 간행
1434년 앙부일구 제작
1441년 측우기 제작
1444년 칠정산 편찬
1446년 훈민정음 반포
1447년 몽유도원도 제작
1481년 동국여지승람 편찬
1485년 경국대전 간행
1493년 악학궤범 편찬
임진왜란의 발발과 전쟁 피해 복구
시기 사건
1419년 쓰시마 섬 정벌
1443년 4군 개척
1449년 6진 개척
1510년 3포 왜란
1555년 을묘왜변
1592년 4월 임진왜란 발발
1592년 5월 옥포 해전
1593년 평양성 탈환
1593년 훈련도감 설치
1594년 속오법 시행
1597년 1월 정유재란
1597년 10월 명량 대첩
1604년 사명 대사 유정, 탐적사로 일본 파견
1609년 기유약조(일본과 재수교)
1616년 후금 건국
광해군의 중립 외교와 병자호란
시기 사건
1608년 광해군 즉위, 대동법 시행
1609년 기유약조 체결
1610년 동의보감 편찬
1618년 인목 대비 유폐, 강홍립 파병
1623년 인조반정
1624년 이괄의 난
1627년 정묘호란
1636년 병자호란
1712년 백두산 정계비 건립
통치 체제의 변화
시기 사건
1589년 기축옥사(정여립 모반 사건)
1623년 어영청 설치
1624년 총융청 설치
1626년 수어청 설치
1659년 1차 예송(기해예송)
1674년 2차 예송(갑인예송)
1680년 경신환국
1682년 금위영 설치
1689년 기사환국
1694년 갑술환국
붕당 정치의 변질과 탕평책, 세도 정치와 사회 혼란
시기 사건
1724년 영조 즉위
1750년 균역법 실시
1776년 정조 즉위, 규장각 설치
1791년 신해통공
1796년 화성 완공
1800년 정조 사망
수취 체제와 농촌 경제의 변화
시기 사건
1608년 대동법 시행
1635년 영정법 시행
1678년 상평통보 발행
1750년 균역법 시행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시기 사건
1608년 대동법 실시
1633년 상평통보 주조·유통 →발행 중지
1635년 영정법 실시
1678년 상평통보 재발행
1750년 균역법 실시
신분제와 향촌 질서의 변화
시기 사건
1731년 노비종모법 시행
1776년 규장각 설치
1781년 초계문신제 시행
1801년 공노비 해방
실학의 등장과 발달
시기 사건
1751년 택리지 편찬
1778년 동사강목 편찬
1778년 북학의 편찬
1784년 발해고 편찬
1811년 아방강역고 편찬
1861년 대동여지도 제작
1901년 열하일기 최초 간행(1780년경 저술)
서학과 동학, 농민 의식의 성장과 농민 봉기
시기 사건
1783년 이승훈, 영세
1811년 홍경래의 난
1860년 최제우, 동학 창시
1862년 임술 농민 봉기
1862년 삼정 이정청 설치
서민 의식의 성장과 서민 문화의 발달
시기 사건
1569~1618년 허균, 홍길동전 저술
1708년 대동법, 전국 실시
1750년 균역법 실시
1801년 신유박해
1860년 동학 창도
1861년 대동여지도 제작
1862년 임술 농민 봉기
예술의 새로운 경향
시기 사건
1605년 법주사 팔상전 재건
1751년 정선, 인왕재색도 제작
1737~1805 박지원, 양반전 저술
1794~1796 수원 화성 건축
1811년 홍경래의 난
1844년 김정희, 세한도 제작(추정)
1861년 대동여지도 제작

근대

근대는 흥선대원군의 집권부터 정리하였고, 근대의 연장선상에서 당대의 역사인 현대 까지도 포함하였습니다.

원하는 챕터의 시기와 사건을 보려면, 문장을 클릭하시면됩니다.

흥선 대원군의 통치 체제 재정비
시기 사건
1862년 임술 농민 봉기
1863년 고종 즉위, 흥성 대원군 집권
1865~1868년 경복궁 중건
1867년 사창제 전국 실시
1868~1871년 흥성 대원군, 서원 철폐
1875년 윤요호 사건
서양 세력의 침략과 대응, 외국과의 조약 체결
시기 사건
1866년 제너럴셔먼호 사건, 병인양요
1868년 오페르트 도굴 사건
1871년 신미양요
1875년 윤요호 사건
1880년 조선책략 유포
1882년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1882년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위정척사 운동과 임오군란)
시기 사건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1876년 제1차 수신사 파견
1880년 제2차 수신사 파견, 조선책략 유포, 통리기무아문 설치
1881년 조사 시찰단 파견, 영선사 파견, 별기군 설치
1882년 임오군란
1883년 보빙사 파견
갑신정변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적 대립
시기 사건
1882년 임오군란 발생
1884년 갑신정변
1884년 부들러, 조선 중립화론 제기
1885년 1월 한성 조약 체결
1885년 3월 거문도 사건(~1887.2)
1885년 유길준, 중립화론 구상
1885년 3월 삼국 간섭
동학 농민 운동
시기 사건
1860년 동학 창시
1892년 삼례 집회
1894년 1월 고부 농민 봉기
1894년 4월 황토헌 전투, 황룡촌 전투, 동학 농민군, 전주성 입성
1894년 5월 전주 화약(집강소 설치)
1894년 6월 일본군, 경복궁 점령, 청·일 전쟁 발발
1894년 10월 남접·북접 농민군 집결
1894년 11월 우금치 전투
1894년 12월 전봉준 체포
갑오·을미개혁
시기 사건
1894년 3월 제1차 동학 농민 봉기
1894년 6월 교정청 설치, 일본군 경복궁 점령
1894년 7월 군국기무처 설치, 청·일 전쟁, 제1차 갑오개혁
1894년 9월 제2차 동학 농민 봉기
1894년 12월 제2차 갑오개혁
1895년 8월 을미사변
1895년 8월 제3차 갑오개혁(을미개혁)
1896년 2월 아관파천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시기 사건
1896년 2월 아관 파천
1896년 4월 독립신문 발간
1896년 7월 독립 협회 설립
1897년 2월 고종, 경운궁(덕수궁) 환궁
1897년 10월 대한 제국 선포
1898년 10월 만민 공동회, 헌의 6조 결의
1898년 12월 독립 협회 해산
1899년 8월 대한국 국제 반포
항일 의병 운동과 의열 투쟁
시기 사건
1895년 을미사변, 을미의병 봉기
1904년 보안회 결성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을사의병 봉기
1906년 대한 자강회 결성
1907년 군대 해산, 정미의병 봉기, 신민회 결성
1908년 의병 연합 부대, 서울 진공 작전, 전명운, 장인환, 샌프라시스코에서 스티븐스 사살
1909년 안중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 사살, 이재명, 명동 성당에서 이완용 습격
열강의 경제적 침탈과 상권 수호 노력
시기 사건
1876년 조·일 수호 조규, 조·일 무역 규칙
1882년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1883년 조·일 통상 장정
1889년 함경도 방곡령
1890년 황해도 방곡령
1898년 황국 중앙 총상회 상권 수호 운동
1899년 경인선 개통
1905년 화폐 정리 사업, 경부선 개통
1906년 경의선 개통
1907년 국채 보상 운동 전개
1908년 동양 척시 주식회사 설립
교육·언론 기관의 설립과 민권 의식 성장
시기 사건
1883년 한성순보 창간
1883년 동문학 설립
1884년 우정총국 설립
1885년 광혜원(제중원) 설립
1886년 육영 공원 설립
1895년 교육입국조서 반포
1896년 독립신문 창간
1898년 제국신문, 황성신문 창간
1899년 서울 전차 운행
1904년 대한매일신보 창간
1907년 오산 학교 설립
1907년 신문지법 제정
1908년 대성 학교 설립, 원각사 설립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
시기 사건
1904년 2월 러·일 전쟁 발발
1904년 8월 제1차 한·일 협약
1905년 11월 제2차 한·일 협약(을사조약)
1907년 7월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1910년 8월 한·일 병합 조약
1910~1920년대 일제의 식민 통치
시기 사건
1910년 10월 조선 총독부 설치
1910년 12월 회사령 실시
1912년 3월 조선 태형령 공포
1912년 8월 토지 조사령 공포
1920년 4월 회사령 폐지
1925년 4월 치안 유지법 실시
1930~1940년대 일제의 식민 통치
시기 사건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1938년 국가 총동원법 제정
1939년 국민 징용령 공포
1943년 학도 지원병제 실시
1944년 징병제 실시, 여자 정신 근로령 공포
1910년대 민족 운동,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기 사건
1912년 대한 독립 의군부 조직
1915년 대한 광복회 조직
1919년 3·1 운동
1919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923년 국민 대표 회의 개최
1920년대 이후 국내의 다양한 운동
시기 사건
1923년 암태도 소작 쟁의
1925년 조선 공산당 결성
1926년 6·10 만세 운동
1927년 신간회 창립
1929년 원산 노동자 총파업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31년 신간회 해소
의열단과 한인 애국단
시기 사건
1920년 박재혁 의거, 최수봉 의거
1921년 김익상 의거
1923년 김상옥 의거
1924년 김지섭 의거
1926년 나석주 의거
1932년 이봉창 의거, 윤봉길 의거
1910~1920년대 무장 독립 투쟁
시기 사건
1911년 신흥 강습소 설립
1919년 신흥 무관 학교 개칭
1920. 6. 봉오동 전투
1920. 10. 청산리 전투 간도 참변
1920. 12. 대한 독립 군단 결성
1921년 자유시 참변
1925년 미쓰야 협정
1930~1940년대 무장 독립 투쟁
시기 사건
1932년 쌍성보 전투, 영릉가 전투
1933년 대전자령 전투, 흥경성 전투
1938년 조선 의용대 창설
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
1942년 조선 독립 동맹 결성
1943년 한국광복군, 인도-미얀마 전선 파견
경제·교육 분야의 실력 양성 운동
시기 사건
1920년 회사령 철폐
1920년 물산 장려 운동 시작
1923년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설립
1924년 경성 제국 대학 설립
1929년 문자 보급 운동 시작
1931년 브나로드 운동 시작
민족 문화 수호 운동
시기 사건
1921년 조선어 연구회 설립
1926년 가갸날 제정, 영화 ‘아리랑’ 개봉
1931년 조선어 학회 설립
1942년 조선어 학회 사건
국외 이주 동포들의 생활
시기 사건
1910년 대한인 국민회 조직
1920년 간도 참변
1921년 자유시 참변
1923년 관동 대지진
1937년 한국인,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시기 사건
1945년 8월 광복
1945년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1946년 좌·우 합작 위원회
1948년 4월 남북 협상
1948년 5월 남한 단독 총선거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6·25 전쟁
시기 사건
1950년 1월 애치슨 선언
1950년 6월 북한의 남침
1950년 9월 유엔군, 인천 상륙
1951년 1월 1·4 후퇴
1953년 7월 휴전 협정 조인
이승만 정부와 4·19 혁명
시기 사건
1952년 발췌 개헌
1954년 사사오입 개헌
1958년 진보당 사건
1960년 3월 3·15 부정 선거
1960년 4월 4·19 혁명
박정희 정부와 유신 체제
시기 사건
1961년 5·16 군사 정변
1965년 한·일 협정 체결
1969년 3선 개헌
1972년 유신 헌법 공포
1979년 10·26 사태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시기 사건
1979년 12월 12·12 사태
1980년 5월 5·18 민주화 운동
1987년 6월 6월 민주 항쟁
1993년 김영삼 정부 출범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
2013년 노무현 정부 출범
경제 성장과 대중문화의 발달
시기 사건
1949년 농지 개혁법 제정
1962년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70년 전태일 분신
1972년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97년 외환 위기
남북한의 통일 노력
시기 사건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
1991년 남북 기본 합의서
1994년 김일성 사망
2000년 6·15 남북 공동 선언
2007년 제2차 남북 정상 회담

시대 구분 당위성·목적·이유

고대와 중세의 구분을 고려의 전후로 한 이유는 고려 전기에 지방 호족 출신의 관료와 신라 6두품 계통의 유학자들이 새로운 지배층을 형성하였다. 이들 중 여러 세대에 걸쳐 고위 관직자를 배출한 가문을 문벌 귀족이라고 하는데, 문벌 귀족은 과거제와 음서를 통해 관직을 독점하고 세습이 허용되는 공음전 등을 통해 경제 기반을 확보하며 왕실 및 다른 귀족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어 권력을 강화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유교적 정치 이념이 강조되어 유학 교육이 확대되고 유교에 대한 이해도 깊어졌다. 광종은 쌍기의 건의로 과거제를 실시하여 유교적 소양을 지닌 신진 관료를 등용하였고, 성종은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유학자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수용하고 유교 정치 이념을 내세워 중앙에 국자감, 지방에 향교를 설립하였다.
고려 중기에는 문벌 귀족 사회가 자리 잡으며 유학도 점차 보수화되었다.

유럽의 중세는 봉건제를 바탕으로 사회를 유지한다. 세계사적 시각으로, 서구와 비교해본다면 한국사에는 봉건제와 같은 제도는 없었지만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슷한 부분이 많다. 또한 후삼국 시대부터 호족의 발흥과 고려의 건국까지 사회적 전환기로의 성격을 가지고, 문벌귀족은 지방분권적 느낌이 강하여 봉건제의 특징과 유사한 점이 많다.

중세와 근대의 구분을 흥선대원군의 집권 이후부터 한 이유는 거듭되는 서양 세력의 통상 수교 요구를 거절하여 보복성 병인양요, 신미양요가 발생하였다.
그때부터 조선에서 서양에 대한 반감이 더욱 고조되었고, 당시 변화하는 국제 정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결국 조선의 근대화를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후, 흥선 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직접 정치를 하였지만 윤요호 사건을 빌미로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조약 체결 이후 부속 조약인 조·일 수호 조규 부록과 조·일 무역 규칙(조·일 통상 장정)이 체결되었다.
조선 정부는 1880년 김홍집이 일본에 수신사로 갔다가 가져온 『조선책략』의 영향으로 미국과 수교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후 1882년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이 조약은 관세 부과 조항과 양국 중 한 나라가 다른 나라의 핍박을 받을 경우, 서로 분쟁을 원만히 해결하도록 주선한다는 거중 조정이 포함 되기는 했지만, 한편으로는 미국의 최혜국 대우와 치외 법권을 인정한 불평등 조약이었다.
또 청은 임오군란을 계기로 조선과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을 체결했다.
이후에도 조선은 계속 영국, 독일, 러시아, 프랑스 등과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였다.

흥선대원군 당시에는 조선의 근대화를 지연시켰지만 이후에 서양에서 강압적으로 근대화를 추진했다는 점에서 재국주의 침략이 시작되고 민족의 저항이 본격화된 시기이기 때문에 근대를 이때로 설정했다.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